• 2024/03/19

    #♪. 하늘다람쥐 뜨개질
    : LINK :: LINK

    (+)
    안 그래도 가끔 트윗에 날다람쥐 뜨개질 보면서 우리 찌레인저 생각 했는데 ㅋㅋㅠ 이모들 같은 생각을 하신 건지, 오늘 파파티 분들이 영상을 주셨다 왕 귀엽다. 나도... 만들 수 있는 걸까..(봐도 어려워)

    +

    • 2024/03/20 #메모.

      클튜 3 기능 나중에 살펴봐야지
      : LINK

      새로운 혼합색 체험
      : LINK

      클튜2 신기능
      : LINK :: LINK

      메쉬 변형
      : LINK

      클튜 포즈사이트
      : LINK

      꿀팁
      : LINK
      * LINK t=129 :: LINK

      영상에서 나온 무료 소재 다운 링크
      1️ [오토액션 보정 예시로 쓰인 소재]
      농말레트로필름 (콘텐츠 ID:1960258) : LINK
      昔のテレビ風アクション (콘텐츠 ID:1741400) : LINK
      * ੈ✩뽀샤시한 오토액션* ੈ✩ (콘텐츠 ID:1964374) : LINK
      RGB 셀로판 효과 폴더 / RGB shift effect folder (콘텐츠 ID:1780375) : LINK
      ざらドット加工アクションセット (콘텐츠 ID:1687175) : LINK
      Auto Line Color (콘텐츠 ID:1914696) : LINK
      2️ [예시로 쓰이진 않았지만 영상에 보여진 소재]
      01:58 LINK
      02:05 LINK
      02:10 LINK

      (+)
      2기능도 모르는데 건너뛰고 3 받았는데 2만으로 충분할 듯.
      ..슬픈 일이 있었다. 사실 1을 샀을 때.. 계정 비밀번호를 잃어버리고, 비번을 찾는 과정에서 변경 임시 비번이 메일로 오지 않는 오류로... 소재 다운을 위해서 새 계정을 가입하는 일이 있었고... 그 결과 1의 플랜은 거기고 입력되는 바람에... 업글하려면 거기서 해야 하는데 그러기 싫어서... 3을 새로 샀다 .... 세일 받았지만 십오만 원 주고 새로 산 꼴... ......하지만.... 이제 다음 제품이 나와도 이 계정으로 우대 업글할 수 있어......... 그냥 업글하면 세일 기간 동안 십만 원 미만인데 6만 원 더 내고 새로 산 꼴이라 너무 아프군요..

      ..그나저나 이 컴퓨터 고장 나면.. 또 사야 하는 거야..? 컴퓨터 슬 맛이 갈 때가 되어서 걱정되는데........... (흐린 눈) 피씨 변경이 된다고 어서 말해.
    • 2024/03/20 2때 부러웠던 픽셀 유동화 그룹 기능을 사용해 봤는데 픽셀 유동화는 원래 벡터 레이어에는 안되는구나...? 이걸 사용하면.. 그림이 흐릿해지는 건 어쩔 수 없는 건가..
      (+)
      슬 왜 업글했는지 짙은 회의감에 잠기고 있으며... 난 1만으로 괜찮았던 게 아닐까. 무엇보다 3부터 앱 보기 불편해져서 소재를 받을 때마다 슬퍼진다..
      신기능을 접하면 이 슬픔도 끝나는 날이 오는 걸까요.....
      (+)
      아니야!! 중간에 칸 추가 기능이 2에 있다 했어..! 물론 나는 3이지만..!! 좋은 점도 있겠지~!(감정기복아 지킬앤하이드냐고!)
    • 2024/03/20 메리마님 클튜2 신기능 영상 짱이야(비명)
      *『레이어 찾기 단축키: Ctrl + Shift + 해당 레이어 클릭』

      (+)
      색을 풀때는 흐리기와 손끝
      픽셀 유동화 스케치 단계에서 많이 사용한다던 요님.

      (+) 갸악 너무 좋아 영역 추가 미치겠다(벽침) 정말 3까지는 모르겠지만 2는 신세계구나 ㅋㅋ ㅠㅠㅠ 갸아아아악

      (+)
      마키아또님 꿀팁 미쳤다. 드래그 채색 전혀 몰랐어..!!
      질감 합성을 이렇게 편하게 하는 거였다고?...? 아 너무 많은 꿀팁에 다 못 외우겠어(ㅋㅋㅋㅋ ㅠ)
      색조 레이어는 뭐야 세상에, 다들 보정 후 수정이 가능했단 말이야..?!(쾅)
      레이어 눈 모양을 마우스 오른쪽 클릭해 선택한 레이어 외에 다른 레이어를 일시에 끌 수도 있구나 아아아악
      단축키 C 누르면 투명색을 선택할 수 있었다니... 난... 난... 브러시 속성에서 표준을 삭제로 고치며 살았는데 인생 헛살았어..
    • 2025/03/13 *이모티콘 팁 : LINK
  • 2024/03/16

    #메모.
    ▍ 클튜 자주 사용하는 묘사 브러시 설정.

    브러시 속성이 듀얼 브러시인 경우..
    해상도 별로 입자 크기 적용이 되지 않는 브러시가 간혹 있는데..

    *『1. 수정한 브러시의 보조 도구 상세 →
    2. 「2-살포 효과」 → 「2-입자크기 하단」 → 「2-브러시 크기에 연동」에 체크』

    위에 방식으로 적용 시 문제점은 붓 크기를 크게 키우고 넓은 공간을 덧칠할 시 출력 방식은 균일한 작은 살포 효과로 적용할 수가 없다.
    결국은 해상도 별로, 별도의 브러시를 만들어 속성을 부여해야.. 으아아!
    *이 녀석이 그냥 72, 300, 600 해상도를 넘나들며 그리기 때문에 문제이며.. (하지만 브러시가 저 마음대로 72 기준이었다 300기준이었다 나를 괴롭히는걸..!)


    《해상도 별로 설정 시》

    *『1. 보조 도구 상세 →
    2. 「2-브러시 모양」 →
    3. 「2-안티에일리어싱」 (*선택사항)』

    : 어째서인지 해상도를 높이면 낮은 해상도일 때 브러시의 건조한 면이 사라져서 높은 해상도 용도로 설정 시 안티에일리어싱을 낮춰(좌측으로 적용) 원하는 느낌을 내야 하며..

    *『1. 보조 도구 상세 →
    2. 「2-브러시 모양」 → 살포 효과 →
    3-1. 입자 크기 수정
    (*기존의 해상도보다 높은 해상도에 사용할 브러시를 추가한다면, 기존의 입자크기보다 2배로 낮은 수치로 입력)
    3-2. 입자 밀도 수정 (*부가적 선택사항)』

    : 입자 크기를 낮춘 것 역시 출판용이 아닌 커뮤에서 사용할 웹용의 설정으로 개인적인 기준입니다...

    (+)
    드디어 미뤄뒀던 정리를 끝냈다..(눈물)
    이제 72에서 600으로 넘나들어도 브러시 때문에 해상도를 변경하지 않아도 돼..!

    +

    • 2024/03/17 (+)
      듀얼 브러시 하니까 생각나서 메모해두며..
      풀이나 잎사귀와 같은 채색 브러시에 특히 듀얼 브러시가 추가된 경우가 많았다.
      (여기서 말하는 듀얼은 백색 뒷면에 위에 흑색 선이 올라온 듀얼 브러시가 아닌 채색 브러시 중, 선택한 이중 색상이 적용되어 버물러지는 '소재 모양이 있는' 브러시를 대상으로..)
      오늘 만져보니까 컬러용으로 수묵화처럼 그러데이션이나, 색 섞임이 거슬린다면 일시적으로 듀얼 기능을 해제해서 채색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았다. 생각보다 느낌이 많이 달라졌으며.. 이미 많은 분들이 그렇게 사용하고 계시겠지만 클튜를 자주 사용하지 않아 늘 잊어버리는 기능이라 잊기 전에 적어보기.

      *소소한 단점(!)
      : 채색을 완료한 후.. 다시 듀얼 기능을 키는 걸 까먹어서 이 브러시가 원래 듀얼 브러시였는지 원 브러시였는지 잊어버리게 되는 면이... 있다.
  • 2024/03/13

    #메모.
    : 한복 올바르게 그리기

    《한복의 특징》

    *동정과 깃, 고름이 존재한다.
    (+) 동정 바깥에는 깃이 붙어있다.

    *동정, 깃, 끝동 그리고 견마기에서
    (특히 깃의 모양으로) (!)눈치 보는 사치를 부렸다.

    *반회장저고리(동정, 깃, 끝동)/ 삼회장저고리((*) 견마기 추가)

    *소매 아래=배래
    (+) 붕어 배래가 보일 때쯤이면 조선이 끝났다.

    *두루마기와 도포의 가장 큰 차이:
    뒤에 무를 알아야 하고 (*)뒷길이 열려있다. (*)전삼으로 가렸을 뿐.

    *남자 한복은 ①겨드랑이와 ②목이랑 이어지는 어깨, ③(*)수구(여자 한복의 끝동에 해당되는 부분)에 천이 두 겹으로 겹대지는 부분이 존재한다.
    (영상에서 9분 30초 부분 점선 참고)
    (+) 여러 개 겹을 입게 된다면 사실상 '수구' 부분과 '겨드랑이' 그쪽만 보일 것 같다.

    *안과 곁(얇은)옷을 겹쳐 입어 색상을 만들어 내는 멋이 있었다.
    (+) 예시: 관복 중 푸른색과 붉은색을 겹대 자줏빛 단령을 만들어 입었다.

    * 영상 16분 고름 와 겉고름 그리고 매듭 색으로 사치 부리는 부분 참고.
    (이런 경우 특히 관복에서 볼 수 있었다.)

    *탕건: 갓 안에 흐르는 걸 막기 위해 하나 더 쓰는 모자.
    (+) 갓은 평자로 쓰는 게 아니라. 앞이 살짝 기울어지게 쓴다.
    (+) 갓끈은 '건영'(천) '패영'(구슬)로 나뉘는데, 문관은 둘 중 하나만, 무관은 두 개를 함께 사용한다.

    *신발은 화, 혜뿐.
    : 혜는 발등을 가리지 않는 형태이다.
    (+) 운혜(보통의 꽃신)


    (!) 자주 틀리는 부분:
    *남자 한복은 깃 부분이 옷 색이랑 같다. 다르게 그린건 잘못된 것
    (+) 영상 23분: 깃은 옷 색과 같고 박음질한 선 부분만 강조해 선 따는 게 맞다.

    *여자 한복 치마 안에 입는 것이 많다.
    ①속속곳(바지)을 입고 그다음
    ②속바지, ③속적삼(저고리 형태의 속곳(속옷):땀 흡수용), ④단속곳(하의), ⑤속저고리(상의),
    (+) 여기서 더해 내가 오늘 멋을 낸다, 왕실 또는 중요한 의식이 있거나 행사가 있을 때는 (!)'예장 속옷'을 더한다. 왕실, 사가에서만 입는 옷.
    ⑥무지개 치마, ⑦대숨치마가 있다.
    안에 갖춤옷으로 두 개를 입고(중앙 부분을 부풀리기 위해서..) 마지막 그 위에..
    ⑧치마저고리를 입어 마무리한다.


    (덤)
    *두루마기:
    (계급이 낮은) 양반들이 입되 갖춤옷으로만 입지 겉옷까지 입지 않은 옷.
    *도포: 양반만 입는 옷.

    *고구려(유목 민족)이라 말을 자주 타 바지까지 갖춰 입었다.

    = 한복의 가장 큰 특징은 바지다.

    출처: LINK

    +

  • 2024/03/12

    점점 일기장은 메모장이거나, 도토리 소굴이 되어가고 있으며..

    (+)
    생각해 보니 트윗에서의 나와 별로 다를 게 없었다(!)
    차이라면 필요할 때 검색 버튼이 있냐 없냐 정도의 차이, 종종 키워드를 검색해서 찾아 꺼내 쓰고 있는데 트윗보다 나은 듯.

    (잊어서 복습 중..)
    1. 텍스트 테두리 설정은 보조도구에서!
    (선은 그대로고 안에 글만 투명화가 가능해진다!)
    2. 지정 레이어 위에 텍스트가 올라가게 설정해뒀음을 잊지 말고 활용하기!
    3. 벡터 레이어에 그리면 수정할 선 선택 그룹화 지정 잊지 말기.

    +

    • 2024/03/12 #♪.Glorious Day feat. 初音ミク - Eve Music Video
      : LINK
      (+) 이번에 추가된 애들인가 정말 귀엽다...

      #♪. 【Fan MV】 The Legend of Zelda: RGB
      : LINK
  • 2024/03/12

    #메모
    : 페어틀 배포

    ①학생증(카드형) & 생활기록부 페어틀

    (출처)
    : LINK :: LINK

    (본문)

    [허용(공통)]
    *TRPG 및 자캐 커뮤니티 사용 (후자의 경우 별도 출처(@SECA_NOIN)표기 필수)
    *색상/폰트 변경 및 그 외 원형을 알아볼 수 있는 가공 (레이어 삭제 및 대체 등 O)
    *다인 혹은 1인 편집
    *그림, 텍스트, 이미지 등의 추가

    [비허용(공통)]
    *상업 이용 일체 (생일 카페/특전 등 포함)
    *편집본 출처 삭제
    *실존하는 학교 혹은 회사의 학생증/사원증 용도로 사용
    *소스 일부를 다른 곳에 사용


    [사용된 폰트]
    * Gmarket Sans - LINK (해당 폰트만 있어도 무관)
    * 강원교육튼튼 - LINK (우측 상단 카드사 심볼에만 사용, 타 폰트 대체 가능)


    ②SF/이능력 사원증 & 신분증 페어틀

    (출처)
    * LINK

    (본문)
    [허용(공통)]
    *TRPG 및 자캐 커뮤니티 사용 (후자의 경우 별도 출처(@SECA_NOIN)표기 필수)
    *색상/폰트 변경 및 그 외 원형을 알아볼 수 있는 가공 (레이어 삭제 및 대체 등 O)
    *다인 혹은 1인 편집
    *그림, 텍스트, 이미지 등의 추가
    *목걸이 줄 포함하여 투명화 저장
    *항목 어떻게 변경하셔도 괜찮습니다! (혈액형>출신지 / 색상 > 오브젝트 / 랭크>지문 등)

    [비허용(공통)]
    *상업 이용 일체 (생일 카페/특전 등 포함)
    *편집본 출처 삭제
    *실존하는 학교 혹은 회사의 학생증/사원증 용도로 사용
    *소스 일부를 다른 곳에 사용

    [사용된 폰트]
    : Pretendard - LINK

    (+)
    *학생증 페어틀
    : LINK
    *빈티지 신문풍 페어틀
    : LINK
    *빈티지 우표&편지 페어틀
    : LINK

    .
    .
    (아래로 다른분의 갓 페어틀)
    .
    .


    ③크래미포스터틀

    (출처)
    * LINK :: LINK

    (본문)
    *모든 폰트, 배피, 텍스쳐, 보정 등 어울리는 대로 바꾸셔도 OK!
    *기본 레이아웃만 제공한다는 느낌으로 봐주시면 감사합니다.
    *다인관의 경우 이름칸 하나를 삭제하고 중앙에 나열하는 방식을 추천드려요.
    *출처 표기는 자유롭게 해주세요!

    (사용폰트)
    Century Gothic(상단)
    Masrerday(이름1)
    Mermaid & Mermaid Swash Caps(이름2)
    Playfair Display Black(페어명)
    Monday Routines(페어명2)
    Zt Shago Black(자유문구)

    (그밖에 트윗에 이미지 폰트)
    *1번 LINK
    *2번 LINK
    *4번 LINK
    *6번 LINK

    (+)
    *티켓모양 틀
    : LINK

    .
    .
    (또 다른분의 틀 배포)

    (+)
    *SF이능력물&가이드버스 스타일
    : 사용폰트: Pretender, Impact, NCL Rabges
    * LINK :: LINK

    (+)
    CD모양 페어틀
    * LINK :: LINK

    (+)
    여름 테마 페어 포스터 템플릿
    * LINK ::  LINK
    출처: @7140ml

    (+)
    현대풍 신분증 & 프로필 차트 페어틀
    * LINK ::  LINK

    (+)
    영국/미국 패스포트 카드 겸 신분증 템플릿
    * LINK

    (+)
    *히어로 틀(SF)
    : LINK
    *동양풍 틀
    : LINK
    *사방신 틀
    : LINK

    (+)
    *인포 페어틀
    : LINK :: LINK

    +

    • 2024/03/12 #TRPG.
      : GIf 컷인
      * LINK :: LINK
      페이즈 도입 컷인 GIF 배포

      (+)
      케케님의 COC : SF-컷인
      출처: LINK
      * LINK

      (+)
      sf 컷인
      : LINK

      (+)
      *치즈님의 깃털 화면 전환
      : LINK
    • 2024/09/13 (+) trpg용 배경 배포(sf)
      * LINK ::  LINK
    • 2025/03/21 (+) SF 코코포 유료 방셋팅(샀다!)
      : LINK

      *주의사항 :
      【가능해요!】
      -색감 보정
      -분리된 PNG 파일을 다른 룰 세팅에 이용하는 경우
      -비율 및 배치 조정 등 악의적이지 않은 선에서의 편집
      -롤20 이식

      【안 돼요!】
      -파일 재배포
      -분리된 PNG 파일이 이용된 맵세팅을 배포하는 경우 (1차 공유 등은 괜찮습니다.)
      -분리된 PNG 파일을 맵세팅 이외에 사용하는 경우
  • 2024/03/12

    #메모.
    : Duck Chess 규칙
    *덕체스는 체스닷컴에서 올해10월부터 시작한 새로운 변형체스입니다

    (1) 체크와 체크메이트가 없습니다. 경기의 목표는 상대 킹을 잡는 것입니다.
    (2) 러버덕이라는 역동적인 요소가 존재합니다. 러버덕 마치 돌벽같은 존재로 다른 기물의 움직임을 막습니다.
    (3) 자신의 수를 둔 다음, 러버덕을 원하는 칸으로 반드시 이동해야 합니다

    출처: LINK (링크의 하단 리플)

    +

    • 2024/03/12 어제 캐릭터 게시판을 꾸미면서 캐실 자료를 오래간만에 봤는데 리지가 라르바 인벤에 넣어준 러버덕이 보였다.. 흘러가다 오늘 이런 걸 알게 돼서 귀엽길래 백업하며(?)
  • 2024/03/09

    #신상 스킨
    : LINK :: LINK
    불곰님 뉴 신상 캐릭터 스킨~!

    (+)
    * LINK :: LINK
    기록 스킨 케시판

    +

    • 2024/03/10 *캐릭터 게시판 후기:
      묘하게 몇 군데가 고쳐지지 않아서 또다시 벽에 부딪혔다.
      아이참 홈꾸의 세계란 너무나도 어렵고 헉헉.. 그래도 대충 정리는 다한듯해서 신상 캐릭터 게시판으로 갈아 끼웠으며.. 자고 일어나면 오늘은 정말 밀린 숙제를 해내야지~!>:3
  • 2024/03/08

    #♪. 우예린 - 화월
    from Night: 여​름​엔 노란 꽃이 밤​에​만 핀다

    저 들판을 넘어 제 손을 건넨다
    여름에 노란 꽃이 밤에만 핀다
    옅어진 달빛에 눈을 감고
    번지는 향기에 취해만 가는데
    내 님을 기다리다 밤이 다 가고
    비춰오는 햇살에 나 사라지네
    아스라이 찾아온 짙은 어둠에
    달맞이 홀로 남아 길을 밝히네

    ▍『 花月 』
    : LINK

    ▍『 火越 』
    : LINK

    (+)
    같은 제목 다른 곡인데, 둘다 좋다..
    첫번째 곡은 파도가 나와서 청룡 생각나고, 두번째 곡은 작열하는 태양이 나와서 주작이 생각나고(?) 부제에 노란 꽃이 밤에만 핀다. 여서 오누이같기도 하고((?)어이 멈춰 업야덕후..!)

    +

    • 2024/03/08 하... 동양 판타지 너무 좋아(벽침)
  • 2024/03/07 ***

    +

  • 2024/03/06

    #메모.
    : TRPG
    인터스텔라 사이언스 픽션 어드벤처 TRPG
    모노리스 (Monolith) 한국어판 배포 (+ 캐릭터 시트)
    * LINK :: LINK

    +

    • 2024/03/06 #페어틀 배포.
      : LINK :: LINK
      진공포장 페어틀. 출처: @Cherrymoon_Cm

      (본문)
      일부 수정은 자유로우나, 종횡비를 지키지 않은 사이즈 조절등의 2차가공, 금전이 오가는 상업적 이용, 재배포, 출처 삭제를 금지합니다.

      ※포장지 레이어는 반드스 스크린 모드를 유지하여 주세요.
      (+) 클리핑+테두리 선 설정을 동시에 유지할 경우 어째서인지 클리칭이 깨지므로 기본 배경 파일을 모두 작업하신 뒤 반드시 해당 폴더를 결합한 후에 레이어 테두리를 설정해 주세요.
      (+) 아이콘(사용한 픽토그램)사이트: LINK
    • 2024/03/06 * LINK :: LINK
      메신저 백업 스킨(유료)
  • 2024/03/04

    #메모.
    : 칼새
    * LINK :: LINK

    (+)
    ▍263p..
    칼새가 이렇게 하늘 높이 올라가는 것을 두고 vesper(s) flights, 저녁 비행이라고 부른다. 베스퍼는 라틴어로 땅거미 지는 저녁을 뜻한다. 거기에서 유래한 배스퍼스는 경건한 저녁기도이기도 하다. 하루를 마감하면서 마지막에 드리는 가장 장엄한 기도! 그래서 나는 항상 ‘저녁 비행’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말이라고 생각한다. 끊임없이 빠져들어 그만 마음을 무너지게 하는 매직 아워, 그 찰나의 푸른빛이라고 생각한다.
    -《헬렌 맥도널드 ,저녁의 비행.》

    +

    • 2024/03/04 #♪. 달담 - 청운
      * LINK
      : 회색빛 아픔을 품던 그들을 나의 푸름으로 채운다.

      (+)
      요님이 제목이 청운이라고 주셨다>:3
      노래의 분위기랑은 다른데

      『 하얀색 구름은
      나와 다른 색을 띠었고
      조금 푸른 나의 몸이 싫어 하늘에 담겨서 지냈다. 』

      이 부분은 운이 생각나고 귀엽다.
    • 2024/03/05 #메모.
      : 경첩

      ▍천둥소리에 만물이 겨울잠에서 깨어나..

       『한서(漢書)』에는 열 계(啓)자와 겨울잠을 자는 벌레 칩(蟄)자를 써서 계칩(啓蟄)이라고 기록되었는데, 후에 한(漢) 무제(武帝)의 이름인 계(啓)를 피휘(避諱)하여 놀랠 경(驚)자를 써서 경칩(驚蟄)이라 하였다.

       옛사람들은 이 무렵에 첫 번째 천둥이 치고, 그 소리를 들은 벌레들이 땅에서 나온다고 생각했다.

       『동의보감(東醫寶鑑)』 논일원십이회삼십운(論一元十二會三十運)에는
      “동면하던 동물은 음력 정월[寅月]에 활동하기 시작하는데, 절기로는 경칩에 해당하며, 음력 9월[戌月]에는 동면을 시작하는데 절기로는 입동(立冬)에 해당한다.”라고 밝히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예기(禮記)』 「월령(月令)」에는 “이월에는 식물의 싹을 보호하고 어린 동물을 기르며 고아들을 보살펴 기른다.”라고 되어 있다.

       이는 경칩이 만물이 생동하는 시기이므로 이를 보호하고 관리하는 시기임을 의미한다.

      조선시대 왕실에서는 왕이 농사의 본을 보이는 적전(籍田)을 경칩이 지난 해일(亥日)에 선농제(先農祭)와 함께 행하도록 정하였으며, 경칩 이후에는 갓 나온 벌레 또는 갓 자라는 풀을 상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불을 놓지 말라는 금령(禁令)을 내리기도 했다.

       『성종실록(成宗實錄)』에 우수에는 삼밭을 갈고 경칩에는 농기구를 정비하며 춘분에는 올벼를 심는다고 하였듯이, 우수와 경칩은 새싹이 돋는 것을 기념하고 본격적인 농사를 준비하는 중요한 절기이다.

      출처: LINK
  • 2024/03/03

    * LINK :: LINK s=20
    요님이 세션 게시판 신상품 나왔다고 들고 와주셔서 빵 터진ㅠ
    후훗 신상이 나올 때마다 알람을 주시는 이모들 사랑합니다>:3
    이분 본문 디자인 심플하게 마음에 드는데 기존에 아보님 게시판 수정 배포해 주신 분의 작품이랑 유사해서 묘하다. 일단 심플한 걸 좋아해서, 압님의 책갈피보다 더 마음에 드는 상품은 아직인 듯.

    +

    • 2024/03/03 #메모.
      : 배포 모음

      *출처
      : LINK :: LINK
      빈티지 풍 티켓 템플릿 배포

      (본문)
      200팔로우 기념으로, 세션 카드로 사용할 수 있는 빈티지 풍의 티켓 템플릿을 배포합니다. 간단하게 작업한 템플릿이니 별도의 문의 없이 편하게 사용해주시면 됩니다. 색은 레이어를 올려서 자유롭게 변경해주시면 됩니다. 템플릿의 특성 상 크툴루의 부름 7판 타이만 시나리오만 사용 가능합니다. 다음에 다른 시나리오 또한 자유롭게 적용이 가능한 템플릿을 배포할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상업적인 이용 및 어떤 방식에서든의 금전적 수익 발생은 일체 불가능합니다. 하단에 기재된 'DESIGN COPYRIGHT 2020. SUPERABOTERARY ALL RIGHTS RESERVED.' 문구도 절대 삭제하지 말아주세요. 혹여나 문제가 생길 시에는 파일을 내릴 예정입니다.

      배경에 깔린 폰트를 제외한, 실제 쓰인 폰트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시나리오 타이틀 기재 폰트 : Bodoni MT Black & HS봄바람체 2.0
      시나리오 라이터명, KPC 및 PC명, 날짜 기재 폰트 : Bodoni Bd BT

      (+)
      * LINK
      웹사이트 템플릿 배포
      (본문) 배경에 깔린 폰트를 제외한, 실제 쓰인 폰트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TOLEY HAND, ARIAL BLACK.

      이것도 귀여움
    • 2024/03/03 #TRPG.
      : 룸꾸
      * LINK
      이분 무료 디쟌도 예쁘다.

      *롤20 윷놀이 : LINK

      (+)
      #메모.
      : 롤20 팁

      *동적조명: LINK
    • 2024/03/03 LINK
      아 웃기다 ㅋㅋㅋ ㅠ 은스나 룰북이란 그렇구나(?)
  • 2024/03/02 ***

    +

  • 2024/03/02

    #메모.
    : 나침반자리(Pyxis=compass)
    겨울철과 봄철에 걸쳐 남쪽하늘에서 보이는 별자리를 말한다. 은하수의 동쪽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한국에서는 일부만 보인다.

    (요약)
    은하수의 동쪽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약자 Pyx. 대략적인 위치는 적경(赤經) 8h 50m, 적위(赤緯) -28 °이다. 가장 밝은 α, β, γ의 세 별도 4등성에 지나지 않는다. 원래 그리스신화의 원정선(遠征船) 아르고호를 나타낸 거대한 별자리(아르고자리)를 프랑스의 천문학자 N.L.라카유가 네 개로 쪼개어(1752), 동북쪽 작은 부분을 나침반자리라고 명명하였다. 그후 J.라란드가 돛대자리라고 하였으나, 1872년 아르헨티나에서 남쪽하늘을 관측하던 B.A.굴드가 나침반자리로 부를 것을 제안하여 1922년 국제천문연합에서 공인되었다. 한국에서는 일부만 보인다.

    (+)
    *나침반자리의 유래
    : 나침반자리는 바다를 항해하는 배에게 있어 필수적인 항해 도구인 나침반의 모양을 상징하고 있습니다.
     나침반을 뜻하는 말로 '컴퍼스'도 있는데, 이 때문에 '컴퍼스자리(Circinus)'와 '나침반자리(Pyxis)'를 혼동하는 경우도 있는데 컴퍼스자리는 원을 그릴 때 사용하는 도구인 컴퍼스를 상징하는 별자리로 나침반과는 상관없는 별자리입니다.

     나침반자리는 당초 '아르고자리(Argo Navis)에'서 분리된 네 개의 별자리 중 하나이며 고대로부터 내려오는 전통적인 별자리가 아닙니다. 따라서 나침반자리의 유래와 관련되어 있는신화나 전설은 없습니다.
     원래 남침반자리의 유래인 아르고자리는 전설의 배 아르고호를 상징하는 별자리였는데 라카유가 이 거대한 별자리를 네 개의 별자리로 나누면서 아르고호의 고물, 돛, 용골과 나침반으로 나눈 것입니다.

     남침반 자리의 유래가 아르고자리라는것은 좀 이상한 일입니다.
    고물, 돛, 용골은 아르고호와 관련된 것이라 이해가 되지만 고대에는 존재하지도 않았던 나침반을 상징하는 별자리를 만든 것은 정말 엉뚱한 일입니다.

     아르고(Ἀργώ, Argo)호는 그리스 신화 속 영웅 '이아손(Jason)'이 날개 달린 황금빛 양의 털 가죽을 구하기 위한 원정대 '아르고나우타이(Argonauts)'를 구성하고 모험을 떠날 때 타고 간 배의 이름입니다.
    전설적인 장인 '아르고스(Argus)'가 여러 신들의 도움으로 성스러운 재료를 이용해 만든 배로 모험을 마친 뒤 바다의 신 포세이돈(Poseidon)에게 헌정되었습니다.
    이 배가 별자리로 새겨진 것이 아르고자리인데, 18세기에 네 개의 별자리(*고물자리, *돛자리, *용골자리, *나침반자리)로 나뉘었습니다. 이중 하나가 나침반자리입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전설의 배인 아르고호가 있던 고대 그리스 시대에는 나침반이 없었습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나침반자리의 유래는 아르고자리입니다.

    *나침반자리 위치
    : 나침반자리의 라틴어 이름은 'Pyxis'이며, 약자는 'Pyx'를 사용합니다. 적경은 8h 53m이며 적위는 -29° 47′이고 위도 +50°에서 -90° 사이에서 관측 가능하며 3월 15일 오후 9시에 (*)남중합니다.

    이웃한 별자리로는 바다뱀자리(Hydra), 고물자리(Puppis), 돛자리(Vela), 공기펌프자리(Antlia)가 있습니다.

    나침반자리는 우리나라에서는 지평선 부근에 매우 낮게 뜨면 밝은 별이 거의 없어서 눈에 잘 띄지 않는 별자리입니다.

    (*)
    남중하다.
    : 천체가 (**)일주 운동에 따라 자오선을 지나다.

    (**)
    일주운동:
    일주운동은 천구 상에서 별들이 하루에 한 번씩 천구의 북극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동심원을 그리며 움직이는 것이다(그림 1 참조).
    지구가 자전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별이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은 23시간 56분 4초인데 이것을 1 항성일(didereal day)라고 정의한다.

    별의 일주운동에 의해 만들어지는 별의 궤적을 (***)일주권(diurnal circle)이라고 한다. 일주권은 (***)대원(great circle)이 아니기 때문에 크기가 모두 다른데, 크기는 (***)별의 적위(declination)의 절대값이 클수록 크다. 따라서, 한시간동안 별이 만든 호의 길이는 적도에 가까이 있는 별일수록 길다.

    : LINK

    (***)
    일주권: 별의 일주운동에 의해 만들어지는 별의 궤적. (위에 링크 사진 참고.)

    (***)
    대원: 구의 표면상에서 그 구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과 구와의 교선을 말한다.
    : LINK

    (***)
    적위: 천구상의 천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의 하나
    천구상의 천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의 하나로서, 시간권을 따라 천구의 적도면에서 천체까지의 각을 말한다. 적도에서 북반구는 (+)로, 남반구는 (-)로 하여 0°~±90°으로 나타낸다. 이것을 구하는 데 자오환(子午環)이 사용된다.
    (사진 참고:)
    : LINK

    출처: LINK

    +

  • 2024/03/01

    3.1절이니 오랜만에 국기 게양 방법을 다시 확인해 보았다.
    순국선열을 기린다 해서 조의를 표하는 날로 낮게 다는가 순간 헷갈렸는데, 독립 만세 운동이 전개되었던 날을 그 자체로 기념하는 국경일로 기를 높게 다는 것이다.
    대한독립만세-! 그날의 함성을 기억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