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
2024/03/02
#메모.
: 나침반자리(Pyxis=compass)
겨울철과 봄철에 걸쳐 남쪽하늘에서 보이는 별자리를 말한다. 은하수의 동쪽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한국에서는 일부만 보인다.
(요약)
은하수의 동쪽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약자 Pyx. 대략적인 위치는 적경(赤經) 8h 50m, 적위(赤緯) -28 °이다. 가장 밝은 α, β, γ의 세 별도 4등성에 지나지 않는다. 원래 그리스신화의 원정선(遠征船) 아르고호를 나타낸 거대한 별자리(아르고자리)를 프랑스의 천문학자 N.L.라카유가 네 개로 쪼개어(1752), 동북쪽 작은 부분을 나침반자리라고 명명하였다. 그후 J.라란드가 돛대자리라고 하였으나, 1872년 아르헨티나에서 남쪽하늘을 관측하던 B.A.굴드가 나침반자리로 부를 것을 제안하여 1922년 국제천문연합에서 공인되었다. 한국에서는 일부만 보인다.
(+)
*나침반자리의 유래
: 나침반자리는 바다를 항해하는 배에게 있어 필수적인 항해 도구인 나침반의 모양을 상징하고 있습니다.
나침반을 뜻하는 말로 '컴퍼스'도 있는데, 이 때문에 '컴퍼스자리(Circinus)'와 '나침반자리(Pyxis)'를 혼동하는 경우도 있는데 컴퍼스자리는 원을 그릴 때 사용하는 도구인 컴퍼스를 상징하는 별자리로 나침반과는 상관없는 별자리입니다.
나침반자리는 당초 '아르고자리(Argo Navis)에'서 분리된 네 개의 별자리 중 하나이며 고대로부터 내려오는 전통적인 별자리가 아닙니다. 따라서 나침반자리의 유래와 관련되어 있는신화나 전설은 없습니다.
원래 남침반자리의 유래인 아르고자리는 전설의 배 아르고호를 상징하는 별자리였는데 라카유가 이 거대한 별자리를 네 개의 별자리로 나누면서 아르고호의 고물, 돛, 용골과 나침반으로 나눈 것입니다.
남침반 자리의 유래가 아르고자리라는것은 좀 이상한 일입니다.
고물, 돛, 용골은 아르고호와 관련된 것이라 이해가 되지만 고대에는 존재하지도 않았던 나침반을 상징하는 별자리를 만든 것은 정말 엉뚱한 일입니다.
아르고(Ἀργώ, Argo)호는 그리스 신화 속 영웅 '이아손(Jason)'이 날개 달린 황금빛 양의 털 가죽을 구하기 위한 원정대 '아르고나우타이(Argonauts)'를 구성하고 모험을 떠날 때 타고 간 배의 이름입니다.
전설적인 장인 '아르고스(Argus)'가 여러 신들의 도움으로 성스러운 재료를 이용해 만든 배로 모험을 마친 뒤 바다의 신 포세이돈(Poseidon)에게 헌정되었습니다.
이 배가 별자리로 새겨진 것이 아르고자리인데, 18세기에 네 개의 별자리(*고물자리, *돛자리, *용골자리, *나침반자리)로 나뉘었습니다. 이중 하나가 나침반자리입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전설의 배인 아르고호가 있던 고대 그리스 시대에는 나침반이 없었습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나침반자리의 유래는 아르고자리입니다.
*나침반자리 위치
: 나침반자리의 라틴어 이름은 'Pyxis'이며, 약자는 'Pyx'를 사용합니다. 적경은 8h 53m이며 적위는 -29° 47′이고 위도 +50°에서 -90° 사이에서 관측 가능하며 3월 15일 오후 9시에 (*)남중합니다.
이웃한 별자리로는 바다뱀자리(Hydra), 고물자리(Puppis), 돛자리(Vela), 공기펌프자리(Antlia)가 있습니다.
나침반자리는 우리나라에서는 지평선 부근에 매우 낮게 뜨면 밝은 별이 거의 없어서 눈에 잘 띄지 않는 별자리입니다.
(*)
남중하다.
: 천체가 (**)일주 운동에 따라 자오선을 지나다.
(**)
일주운동:
일주운동은 천구 상에서 별들이 하루에 한 번씩 천구의 북극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동심원을 그리며 움직이는 것이다(그림 1 참조).
지구가 자전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별이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은 23시간 56분 4초인데 이것을 1 항성일(didereal day)라고 정의한다.
별의 일주운동에 의해 만들어지는 별의 궤적을 (***)일주권(diurnal circle)이라고 한다. 일주권은 (***)대원(great circle)이 아니기 때문에 크기가 모두 다른데, 크기는 (***)별의 적위(declination)의 절대값이 클수록 크다. 따라서, 한시간동안 별이 만든 호의 길이는 적도에 가까이 있는 별일수록 길다.
: LINK
(***)
일주권: 별의 일주운동에 의해 만들어지는 별의 궤적. (위에 링크 사진 참고.)
(***)
대원: 구의 표면상에서 그 구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과 구와의 교선을 말한다.
: LINK
(***)
적위: 천구상의 천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의 하나
천구상의 천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의 하나로서, 시간권을 따라 천구의 적도면에서 천체까지의 각을 말한다. 적도에서 북반구는 (+)로, 남반구는 (-)로 하여 0°~±90°으로 나타낸다. 이것을 구하는 데 자오환(子午環)이 사용된다.
(사진 참고:)
: LINK
출처: LINK
+
클튜 3 기능 나중에 살펴봐야지
: LINK
새로운 혼합색 체험
: LINK
클튜2 신기능
: LINK :: LINK
메쉬 변형
: LINK
클튜 포즈사이트
: LINK
꿀팁
: LINK
* LINK t=129 :: LINK
영상에서 나온 무료 소재 다운 링크
1️ [오토액션 보정 예시로 쓰인 소재]
농말레트로필름 (콘텐츠 ID:1960258) : LINK
昔のテレビ風アクション (콘텐츠 ID:1741400) : LINK
* ੈ✩뽀샤시한 오토액션* ੈ✩ (콘텐츠 ID:1964374) : LINK
RGB 셀로판 효과 폴더 / RGB shift effect folder (콘텐츠 ID:1780375) : LINK
ざらドット加工アクションセット (콘텐츠 ID:1687175) : LINK
Auto Line Color (콘텐츠 ID:1914696) : LINK
2️ [예시로 쓰이진 않았지만 영상에 보여진 소재]
01:58 LINK
02:05 LINK
02:10 LINK
(+)
2기능도 모르는데 건너뛰고 3 받았는데 2만으로 충분할 듯.
..슬픈 일이 있었다. 사실 1을 샀을 때.. 계정 비밀번호를 잃어버리고, 비번을 찾는 과정에서 변경 임시 비번이 메일로 오지 않는 오류로... 소재 다운을 위해서 새 계정을 가입하는 일이 있었고... 그 결과 1의 플랜은 거기고 입력되는 바람에... 업글하려면 거기서 해야 하는데 그러기 싫어서... 3을 새로 샀다 .... 세일 받았지만 십오만 원 주고 새로 산 꼴... ......하지만.... 이제 다음 제품이 나와도 이 계정으로 우대 업글할 수 있어......... 그냥 업글하면 세일 기간 동안 십만 원 미만인데 6만 원 더 내고 새로 산 꼴이라 너무 아프군요..
..그나저나 이 컴퓨터 고장 나면.. 또 사야 하는 거야..? 컴퓨터 슬 맛이 갈 때가 되어서 걱정되는데........... (흐린 눈) 피씨 변경이 된다고 어서 말해.